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환경호르몬 줄이기 위한 노력

우리는 생각보다 일상생활에서 환경호르몬에 아주 많이 노출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환경호르몬이 어떻게 노출되는지,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노력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환경호르몬

 


환경호르몬은 어떻게 노출되나요?

환경호르몬은 환경 중으로 배출된 화학 물질이 호르몬과 같은 작용을 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환경호르몬은 '내분비계 장애 물질'로 규정됩니다. 왜냐하면 호르몬의 균형을 방해하고 내분비계가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못하게 하는 물질이기 때문입니다.

환경호르몬은 쉽게 분해되지 않고 인체 또는 생물의 지방 조직에 축적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더욱 주의해야만 합니다.

대표적인 내분비계 장애 물질로는 프탈레이트류, BPA, 파라벤, 트리클로산 등이 있습니다. 이 중 프탈레이트는 주로 어린아이들의 장난감, 놀이 매트 등 바닥재, PVC 제품에 많이 쓰이고 실제로 아이들의 ADHD (주의력 결핍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PA는 영수증, 젖병, 음료수 캔의 내부 코팅 재료로 쓰이며, 이는 성 조숙증, 발달 장애, 과잉 행동 장애에 영향을 준다고 밝혀졌습니다. 따라서 요즘에는 BPA FREE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습니다.


환경호르몬 어떻게 노출되나요

 

 

환경호르몬 노출에 가장 민감한 그룹은 임산부와 태아?!

태아는 굉장히 빠른 성장과 기관의 분화가 일어나는 시기입니다. 이때 환경호르몬에 노출된다면 노출 용량과 시기에 따라 기형이 발생하거나 성장이 늦어지고 조산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최근 유전자 연구 결과로는 태아기에 잠시 환경호르몬에 노출된 영향이 본인 세대 이후 다음 세대까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임산부 또는 모유 수유 중인 여성은 환경호르몬 노출 예방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합니다.

모유 중 환경호르몬 농도와 관련 있었던 건 생선, 컵라면, 아이스크림이었으며, 생활용품 중에는 음식을 담는 플라스틱 용기, 일회용 용기, 방향제, 새 가구, 화장품에서 굉장히 높게 나왔습니다.


환경호르몬에 가장 민감한 그룹 - 임산부, 태아


환경호르몬 노출을 최소화하려면?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흠집이 있거나 표면이 마모된 플라스틱 용기는 폐기하시는 것이 좋으며, 전자레인지 등을 이용하여 식품을 데울 때에는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플라스틱 제품 구매 시, 원료 확인하기
PVC, PC, PS 제품보다 PET, PP 제품이 상대적으로 안전합니다. 반짝거리거나 화려한 재질에는 프탈레이트가 함유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향이 강하거나 화려한 용기, 말랑거리는 제품은 사용하지 말고 KC나 친환경 인증 마크가 있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 많이 마시기
프탈레이트, 비스페놀, 파라벤에는 반감기가 4~6시간 정도로 짧고 몸에서 쉽게 빠져나가는 물질도 있기 때문에 물 마시기를 습관화한다면 대사가 원활해져서 체내 환경호르몬 배출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과일, 채소 깨끗이 씻기
살충제에는 잠재적 발암 물질뿐만 아니라 내분비 기능을 방해하는 환경호르몬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깨끗하게 세척 후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육류, 유제품 자제하기
육류 및 유제품에는 성장호르몬과 예방적 항생제가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자라나는 성장기인 아이들이 아예 육류, 유제품 섭취를 안 할 수는 없으니 건강하고 균형 잡힌 식단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